석유 매장량 세계 1위 베네수엘라, 왜 국민들이 굶주릴까?

이현우 입력 2018.08.22. 10:42 수정 2018.08.22. 11:10

과도한 포퓰리즘 정책, 100만% 인플레이션으로 돌아와
석유 의존도 96%, 성장보다 '분배'만 강조하다 몰락
불과 5년 만에 국가파산... 약탈, 범죄 횡행

극심한 경제난과 100만%에 이르는 하이퍼인플레이션으로 230만명 이상의 베네수엘라 국민들이 경제난민이 됐다. 브라질의 난민 쉼터에 들어온 베네수엘라 난민 모습.(사진=유엔난민기구/http://www.unhcr.org)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 230만명에 이르는 난민, 100만 퍼센트를 육박하는 하이퍼인플레이션, 극심한 기아 속에 벌어지는 약탈과 범죄. 8년째 내전 중인 시리아의 모습이 아니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남미에서 가장 잘사는 국가였던 베네수엘라의 현재 상황이다. 단위면적당 석유매장량이 세계 1위인 자원부국 베네수엘라는 내전도, 외침도 없이 시리아 내전보다 참혹한 상황에 처했다. 성장없이 분배에만 집중한 무분별한 포퓰리즘 정책, 석유자원 단 하나에 의존하다 붕괴된 전형적인 '네덜란드병'에 빠진 베네수엘라의 경제참극은 현대 국가파산의 교과서처럼 회자되고 있다.

2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들에 따르면, 베네수엘라는 이날부터 볼리바르화 가치를 95~96% 평가절하한 새 통화인 '볼리바르 소베라노'를 도입했다. 기존 통화보다 10만분의 1로 통화가치를 절하하는 상상을 초월할 수준의 디노미네이션(denomination)을 실시했지만, 혼란만 더 가중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이 전망한 볼리비아의 올해 인플레이션은 100만퍼센트(%)로 이미 국가경제가 완전히 파산한 상태기 때문이다. 보통 이 정도 수준의 하이퍼인플레이션은 1차 세계대전 직후 독일, 일제침략기 중국 등 전시 상황에서나 발생할 수준이지만, 베네수엘라는 전시국가도 아니고 내전을 장기간 치르고 있는 상황도 아니다.

불과 5년 전만 해도 베네수엘라는 남미지역의 자원부국 중 하나였으며, 2013년 국민 1인당 총생산(GDP)는 1만2000달러를 넘어설 정도로 잘 사는 나라였다. 안정적으로 상승하던 유가로 인해 단위면적당 세계 1위의 석유매장량을 가진 베네수엘라는 막대한 석유를 미국 등 세계 각지로 수출하며 탄탄한 경제력을 과시했다. 1998년 집권한 우고 차베스 전 대통령이 좌파와 반미의 선봉장으로 자처하며 무상교육과 무상의료, 저가주택 등 각종 포퓰리즘 복지정책을 통해 장기집권과 독재가 가능했던 토대가 됐다.

베네수엘라는 단위면적당 석유매장량이 세계 1위인 자원부국으로 2014년 국제유가 폭락 이전까지는 남미에서 가장 잘사는 국가에 속했다. 하지만 전체 수출의 96%를 석유에 의존하는 경제체질 개선보다 포퓰리즘 정책에 매몰, 유가 폭락으로 경제가 5년만에 파국에 이르렀다.(사진=아시아경제DB)

그러나 2013년, 차베스가 사망하고 부통령인 니콜라스 마두로가 후계자로 지목돼 차기 대통령이 된 이후부터 상황이 악화되기 시작했다. 베네수엘라의 최대 석유 수출국이던 미국에서 셰일가스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체적으로 석유를 생산하고 석유수입량을 크게 줄이면서 유가가 폭락하기 시작했다. 이전 차베스 정권 때부터 오로지 석유자원 하나에 의존해 포퓰리즘 정책에 집중하고 중장기적인 거시경제정책을 등한시했던 베네수엘라 경제는 순식간에 무너져내리기 시작했다. 베네수엘라 수출의 96%가 석유일 정도로 석유자원 하나에 모든 경제가 지탱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마두로 정권은 차베스 정권시기 만들어진 포퓰리즘 복지정책을 폐기하지 않고 계속 밀고 나가면서 재정부족을 타개한다며 화폐량을 크게 늘렸다. 미국같은 기축통화국도 아닌 국가에서 재정부족 문제를 타개하기 위해 자국 화폐량을 크게 늘릴 경우, 하이퍼인플레이션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결국 베네수엘라의 물가상승률은 2014년 62%를 넘어섰고, 이듬해 275%, 2016년에는 700%, 지난해에 1만3800%를 넘기고 올해 100만%에 이르게 됐다. 이런 상황에 처하자, 유일한 버팀목이던 석유조차 시추 기계를 유지, 보수할 수 없어서 생산량이 급감했다. 2013년 300만 배럴이 넘던 일일 원유생산량은 120만배럴 밑으로 추락했다.

베네수엘라 반정부 시위 모습. 주요 도심지에서 약탈과 범죄, 폭력 시위가 이어진 베네수엘라는 전국 대부분이 무정부상태에 빠져있다.(사진=EPA연합뉴스)

2016년부터 결국 시장기능이 완전히 마비됐고, 약탈과 강도가 횡행하기 시작했으며 주민들은 생필품을 구하기 위해 이웃나라로 떠나는 난민이 됐다. 매일 국경을 넘는 수천명의 행렬이 늘어서고, 지난 3년간 베네수엘라의 경제난민은 230만명에 이르게 됐다. 식량난이 심화돼 영양실조에 걸린 아이들이 늘어났으며, 지난해에는 전 국민의 평균 몸무게가 11킬로그램(kg) 이상 감소하는 등 심각한 기아상황에 놓이게 됐다. 현재 베네수엘라는 주요 도심지에서 치안이 완전히 마비된 상태며, 해외항공사들도 베네수엘라 노선을 중단시킨 상태다. 동물원의 동물들은 물론 길거리의 개까지 잡아먹는 아비규환의 현장이 됐다.

그럼에도 마두로 정권은 경제위기의 근원을 미국의 경제제재, 미국과 유럽간 무역전쟁 탓으로 돌리며 하이퍼인플레이션에 대응해 최저임금을 3000% 상승시키고, 화폐개혁을 단행하는 등 극단적인 땜질식 처방으로 일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마두로 정권의 사회주의 정책이 계속 지속될 경우, 베네수엘라는 회복 불능 상태로 빠질 것이라 경고하고 있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블로그 이미지

오사사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정보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