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손보험료 최대 100% 인상 폭탄 맞는다는데..내 보험료는 얼마나

송상현 기자 입력 2021. 02. 24. 06:17 수정 2021. 02. 24. 08:34


구실손 15~19%·표준화 10%·신실손 동결..갱신주기 따라 최대 두배로 인상
신실손 저렴하지만 자기부담률 높아..의료이용량 따라 갈아타기 결정해야
26일 오후 광주 동구 전남대학교병원 본관 1층 로비. 020.11.26/뉴스1 © News1 정다움 기자

(서울=뉴스1) 송상현 기자 = "보험료가 ○○%나 오른다는데 더 저렴한 보험으로 갈아타야 하나요?

최근 보험설계사들에게 쏟아지는 질문 중 하나다. 손해보험업계 1위 삼성화재가 최근 실손보험료를 19% 올린다고 밝힌 데다가 오는 7월 출시되는 4세대 실손보험에 대한 궁금증까지 맞물리며 보험 갈아타기에 대한 문의가 늘고 있다.

다만 가입 상품의 종류와 갱신 시점, 연령 등에 따라 인상률은 달라질 수 있어 무조건 보험료를 낮추기보다는 자기부담금 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24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손해보험사들은 오는 4월부터 구(舊) 실손보험의 보험료를 15~19% 인상할 예정이다. 삼성화재가 18.9% 인상을 발표했고, 현대해상은 18% 수준으로 결정했다. 다른 보험사들 역시 최소 15% 이상의 인상률을 두고 고민하고 있다.

다만 이번 대폭 인상은 구 실손보험에만 해당한다. 실손보험은 지난 2009년 10월 이전에 판매된 '구실손보험', 2009년 10월~2017년 3월에 판매된 '표준화실손보험', 2017년 4월부터 판매된 신(新)실손보험 등 크게 3가지로 나뉜다. 최신 상품으로 갈수록 보험료는 싸지만 자기부담금 비율이 높아진다. 금융위원회가 지난해 발표한 40세 남자 기준 평균 실손보험료는 구실손보험이 3만6679원, 표준화실손이 2만710원, 신실손이 1만2184원이다.

표준화 실손보험료의 인상률은 10%대 초반으로 이미 손보사들이 지난 1월부터 반영했다. 지난해와 2019년에 인하됐던 신실손 보험료는 올해 동결됐다.

이번 인상률은 갱신기간, 연령, 성별 등에 따라 개인마다 다르게 적용된다. 특히 갱신 주기를 살펴봐야 한다. 2009년 이전 실손보험 상품은 갱신주기가 1년, 3년, 5년 등으로 다양했지만 2009년부터는 대개 3년 주기였으며 2013년부터는 대개 1년이었다.

이를 고려하면 2013년 1월 이후 실손보험 가입자는 올해 초부터 보험료가 오르게 된다. 2009~2012년 사이 가입자 중에선 3년 주기 갱신 시점(2015년→2018년→2021년)을 맞는 2012년 가입자의 보험료가 인상된다.

표준화 실손 보험료는 2019년과 지난해에 각각 9%대, 8%대 인상됐다. 이를 고려해 10%씩 3년간 올랐다고 가정하면 약 33%의 누적 인상률이 한꺼번에 반영되는 셈이다.

구실손보험 가입자 중 갱신 주기가 5년이라면 더 센 보험료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 구실손보험은 2017과 2019년에 10%씩 인상됐고, 작년에도 10% 정도 올랐다. 올해 인상률은 15∼19%가 적용될 예정이다. 5년간 누적 인상률은 53∼58%에 달한다.

성별이나 연령대에 따른 인상률 차등을 적용하면 장·노년층 남성은 상대적으로 더 큰 인상률을 적용받는다. 구실손 가입자 중 일부 고령층은 100%까지 인상폭이 적용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의견이다.

보험업계는 평소 실손보험금 청구가 적은 가입자에겐 보험료 인상률이 가파른 구실손과 표준화실손 대신에 신실손보험으로 갈아탈 것으로 권유한다. 구·표준화 실손과 신실손간의 보험료 격차는 갈수록 더 벌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자기부담률을 고려해 선택해야 한다. 구실손보험은 의료비의 자기부담률이 0%여서 가입자가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부담이 전혀 없다. 표준화실손의 자기부담률은 10%이고, 신실손의 자기부담률은 급여(국민건강보험 적용) 10~20%, 비급여 20~30%다. 같은 병원에서 같은 치료를 받더라도 신실손 가입자의 지출이 클 수밖에 없다.

오는 7월 나오는 4세대 실손 역시 급여의 10%, 비급여의 20%, 특약의 30% 등 자기부담금이 크다. 다만 의료서비스 이용에 따라 보험료가 차등 적용돼 의료 서비스가 적은 가입자는 보험료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50대 이상으로 병원 이용량이 많아질 경우엔 자기부담금이 적은 구실손 등 기존 보험을 계속 보유하는 게 유리하다"면서 "20~30대 젊은 층의 경우엔 현재 의료비 지출이 크지 않은 만큼 저렴한 신실손이나 4세대 실손을 고려하는게 합리적"이라고 설명했다.

songss@news1.kr


블로그 이미지

오사사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정보제공

,

라면·치킨도 '들썩'.. 여보, 죽겠다 정말!

명희진 입력 2021. 02. 23. 05:07 댓글 1306

 

빵·햄버거·즉석밥 등 줄줄이 인상.. 장보기 겁나네

쌀값 오름세가 계속되자 식품업체들이 즉석밥 가격 인상을 예고했다. 22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즉석밥이 진열돼 있다.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가공식품과 외식업계 가격 인상은 이제 막 시작됐다.”

곡물 가격 상승으로 빵, 햄버거, 즉석밥 등 주요 가공식품의 가격이 줄줄이 오르고 있다. 미국의 역대급 한파 등으로 곡물값 안정이 요원한 가운데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 장기화 등으로 먹을거리의 추가 가격 인상 가능성이 크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국제 유가, 인건비, 곡물 원매가 등 생산 비용이 크게 오르면서 가격 상승 압력이 세진 상황”이라고 말했다.

●곡물값 급등에 가공식품 도미노 인상

22일 시카고선물거래소(CBOT)에 따르면 지난 19일 기준 밀 가격은 t당 239달러로 지난해보다 16% 가격이 올랐다. 옥수수와 대두는 214달러, 505달러로 각각 전년 대비 44%, 54%씩 높은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원자재 곡물값은 3~6개월 시차를 두고 생활 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올 하반기 장바구니 물가가 더 팍팍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

실제 지난해 8월부터 이상기후, 코로나19 등으로 꾸준히 오른 곡물값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초에 걸쳐 제품값을 연쇄적으로 밀어올렸다. 한국맥도날드는 25일부터 버거 등 30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2.8% 올리기로 했다. 앞서 롯데리아는 가격을 1.5% 인상했다. 이번 주에는 CJ제일제당이 즉석밥 가격을 6~7% 올린다. 오뚜기도 즉석밥 3종 가격을 7~9% 올릴 예정이다. 파리바게뜨는 빵값을 평균 5.6% 인상했고 뚜레쥬르는 지난달 9% 인상을 단행했다.

●8월부터 우유 원유값도 올라… 제과업 타격

오는 8월부터는 우유 원유 가격도 오른다. 원유 가격은 낙농업계 요구로 ℓ당 1034원에서 1055원으로 21원(2.3%)이 오를 예정이다. 계란도 수입 확대에도 여전히 비싼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이날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특란 10개 도매가는 2005원으로 전년 대비(1174원) 70.8% 비싼 가격에 거래됐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소비자 부담을 우려해 가격 인상을 최대한 미뤄 왔지만 계란값이 크게 오른 데다 우유 가격 인상도 예정돼 있어 제과업계나 유제품 생산 업계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국민 간식’ 치킨 값도 불안하다. 한국육계협회 따르면 치킨 조리에 사용하는 닭고기 9·10호(부분 육)는 ㎏당 3308원(18일 기준)으로 3개월 전보다 16.2% 올랐다. 치킨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본사 부담으로 치킨 가격 상승을 막고 있는 상태다. 한 예로 BHC는 AI로 인한 지난 1월 육계 가격 인상폭 20억원을 본사에서 전액 부담하고 3월까지 40억원을 추가 지원한다.

●라면도 들썩…“하반기 식료품 인상 본격화”

‘서민 물가의 바로미터’인 라면값 인상도 거론된다. 주재료인 밀과 팜유 가격이 크게 올라서다. 박상준 키움증권 연구원은 “현재 곡물 가격 상승 강도를 감안하면 하반기부터 국내 식료품 가격 인상이 본격화할 것”이라며 “곡물 가격이 조기에 안정되는 시나리오가 아니라면 식료품 가격 인상은 장기간에 걸쳐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sⓒ 서울신문사.

블로그 이미지

오사사

국내외에서 일어나는 사건사고 정보제공

,